본문 바로가기

IT 스터디/Linux

리눅스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지니입니다.

오늘은 리눅스의 탄생과 현재까지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리눅스의 마스코트인 턱스(Tux)

 

리눅스의 탄생

 1991년 9월 17일, 폴란드의 헬싱키 대학의 리누스 토발즈라고 하는 학생은 운영체제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게 됩니다. 그 당시 교육용으로만 국한되었던 미닉스 라이선스에 실망한 그는 리눅스 커널이 되는 자신만의 운영체제에 대한 작업을 시작합니다.

 리누스 토발즈는 미닉스에서 커널 개발을 시작했고, 미닉스용으로 개발된 응용 프로그램도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하였습니다. 이후 리눅스 커널 개발에서 리눅스 시스템이 되었습니다.

 

리눅스의 발전

 리눅스 개발 초기를 지나면서 GNU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모든 미닉스의 구성 요소를 대체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아직 미성숙하고 자유도가 높은 리눅스 운영체제에  GNU 프로젝트에서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코드를 사용하는데 이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리눅스 토발즈는 상용 재배포를 금지하였던 그의 오리지널 라이선스로부터 GNU GPL로의 전환을 시작하였고, 개발자들은 GNU 구성 요소들을 리눅스 커널로 통합하는 일을 시작하여 온전히 기능하는 리눅스 운영 체제를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여기서 GNU, GNU 프로젝트라는 것은 누구나 자유롭게 "실행, 복사, 수정, 배포"할 수 있고, 누구도 그런 권리를 제한하면 안 된다는 사용 허가권 아래 소프트웨어를 배포한다는 이념과 "유닉스가 아니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는 나중에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오늘날의 리눅스

 오늘 날의 리눅스는 컴퓨팅 전반에 널리 사용되는 운영체제가 되었습니다. 임베디드 시스템 및 서버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며,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친숙하게 사용되는 운영체제가 되었습니다.

 현재 가장 대표적이고 대중적인 것은 바로 안드로이드입니다. 대부분의 스마트폰의 운영체제로 사용되고, 테블릿, 기타 웨어러블 제품에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물론 안드로이드를 리눅스의 하나로 바라보아야 하냐는 물음도 있긴 합니다.

 

현재 리눅스 개발은?

 현재는 그레그 크로맨하트가 리눅스 커널의 주도적인 유지보수자로서 개발을 가이드하고 있다고 합니다. 윌리엄 존 설리반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이사로서 GNU 구성 요소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업들과 개인은 GNU가 아닌 서드파티 구성 요소들을 자유롭게 개발합니다. 

 리눅스 벤더들과 커뮤니티들은 커널, GNU 구성 요소, GNU가 아닌 구성 요소를 리눅스 배포판이라는 형태로 추가적인 패키지 관리자와 결합하여 배포합니다.

 

오늘은 리눅스의 탄생과 현재의 리눅스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더 유익하고 재밌는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T 스터디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란 무엇일까? (리눅스 기본 알아보기)  (0) 2020.11.29